생계급여 주거급여 2024 지원기준 최대 인상 중위 평균 소득

생계급여 주거급여 2024 지원기준 최대 인상 중위소득 평균소득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7월 28일 제 70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했으며 기초생활보장 및 각종 복지사업 기준을 심의.의결 하였습니다.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상향조정하기로 했습니다.

생계급여 주거급여

✅️관련정보더보기

📌복지서비스 나에게 힘이되는 혜택 BEST 10

📌8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직접대출 접수 지원대상 신청방법 필요서류

📌청년도약계좌 8월 일정 안내 가입신청방법 계좌개설 방법

생계급여 주거급여 2024 지원기준

2024년도 생계급여 지원기준을 4인가구 올해 대비 13.16% 최대 수준으로 인상 됩니다. 생계급여 4인가구 기준 올해 대비 2024년 183만 3,572원으로 인상되고, 1인가구 올해 기준 내년에는 71만 3,102원 (14.40%)로 인상 됩니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과 생계급여 선정기준이 30% -> 32%로 상향 되어 4인가구 기준 6.09% 증가되고, 1인가구는 2.25%가 증가됩니다.

중위소득

  • 국민가구소득을 순서대로 나열 했을때 중간에 있는 소득입니다.
중위소득

평균소득

  • 모든 가구의 속득을 합한 다음 가구 수로 나눈 값입니다.
평균소득

중위소득과 평균소득의 차이점

  • 한 가구의 소득이 다른 가구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면 중위소득 가구의 전체 평균이 올라가게 되어 평균소득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실제로 중위소득은 소득 양극화의 영향을 덜 받으며 소득분포의 중간값을 파악하는데 유용해요.
중위소득과 평균소득의 차이점

기준 중위소득이란

  • 기초생활보장 서비스별 선정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서 보건복지장관이 고시하는 국미가구소득의 중위값입니다.
  • 소득증가율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 정부의 70여개 복지사업 지원대상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되고 기준 중위소득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받는 분들도 늘어납니다.
  • 최저생활의 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생계급여는 가구 단위 소득인정액의 규모가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인 가구에 지원하며 가구 단위 소득인정액의 규모는 월급 등 가구의 실제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하고 가구 특성별 지출 비용과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하여 소득을 산정합니다.
중위소득

지원금액의 변환

기준 중위 소득

  • 생계급여 선정 기준이 1%p 상향되면 ‘기준 중위소득’이 3.33% 인상되는 효과가 있고 약 1만 9000 가구가 생계급여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

생계급여 주거급여 2024 지원기준 최대 인상 중위소득 평균소득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