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대중교통비 혜택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대중교통비 혜택 7월부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해야 하는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공공재원이 지급하고 민간카드사가 10% 추가 할인해 주는 혜택입니다.

알뜰교통카드

✅️관련정보더보기

📌한전 전기요금 에너지 캐시백 복지 할인 신청 6월~9월 한시적 분할 납부

📌자립두배통장 경기도 자립준비청소년을 위한 지원 6년간 저축액 2배 적립

📌돌봄 서비스 시작 2023 중장년,청년 대상 일상돌봄 서비스 신청 방법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횟수를 월60회로 자동 상향합니다. 알뜰교통카드 발급 카드사도 기존 6개에서 11개로 늘어나 국민의 선택권도 확대하였습니다.

마일리지 적립횟수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7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을 통해 마일리지 적립횟수를 월 44회에서 월 60회로 확대하였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도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까지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30%이상 절감하는 교통카드입니다.

이 사업의 시행으로 기존 이용자와 모든 이용자들이 마일리지를 초대 60회까지 적립할 수 있어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국민들의 부담이 완화 될것 같습니다.

발급카드사 확대

또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참여 카드사가 6개에서 11개로 확대되어 이용자의 선택권도 확대되었습니다. 기존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로카, 티머니, DGB 에 신규로 국민카드, 농협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로 확대되었습니ㄷ.

신한카드

가볍고 편해지는 발걸음~ 대중교통 요금 10% 할인 대중교통 마일리지 적립, 생활편의 캐시백, 도서, 어학,요식 캐시백, 연회비 없음, 알뜰교통카드는 사업 참여 대상지역 거주자만 신청가능합니다.

신한카드

우리카드

대중교통 10% 청구할인, 자동납부 10% 청구할인, 대형할인업종2천원 청구할인, 스타벅스 10% 청구할인, 주요놀이공원 자유이용권 50% 현장할인, 페이코 포인트 1% 적립됩니다.

우리카드

하나카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대중교통비 혜택 7월부터 1

이 외에도 로카, 티머니,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카드가 혜택을 줍니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알뜰교통카드가 온 국민의 대표 교통카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편의 개선에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모바일 페이도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4월부터 개선하였고 저소득 증빙서류도 생략하며 카카ㅓ비도오톡 알림서비스도 7월중 개발합니다. 이렇게 편하게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도 아끼지 않겠다고 합니다.

2023년 알뜰교통카드 이용 개선 및 혜택 확대

22년도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이용자 44,818명 대상중 사업에 만족한다는 의견은 전체의 92%로 나타났습니다. 21년 대비 1.1% 증가 했으며 매우 만족은 1.4% 증가했습니다.

최대 적립횟수가 44회에서 66외로 확대 되어짐에 따라 최대 적립금이 월 1.1만원에서 4.8만원이 1.5만원에서 6.6만원으로 증가되었습니다. 카드사도 6개에서 11개로 확대되면서 이용자의 선택원은 확대 되었습니다.

이용 개선 및 혜택 확대

  • 회원가입 간소화 : 서류 확인이 자동화 되어 개선 전에는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를 직접 앱에 등록 했으나 이제는 행정정보망 연계로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면 필요 서류가 자동으로 확인 됩니다.
  • 저소득층 지원 확대 : 개선 전에는 회당 500~900원이 적립되었으나 개선 후 회당 700원~1,100원으로 적립금이 확대 되었습니다. 현행 절감액 대비 연 최대 11만원 추가 절감이 되었습니다.
  • 모바일 페이 도입 : 개선 전에는 교통카드를 모바일 페이에 등록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했으나 개선 후 모바일페이에 등록을통해 사용 가능해 졌습니다. 삼성페이, 페이코 등 모바일페이에 실물 카드를 등록해 이용 가능 합니다.
  • 플러스 혜택 : 개선 전에는 마일리지 적립한도가 월 44회 였으나 개선 후 60회로 상향 적립됩니다. 월 1만원~4만원 적립금이 월1.5만원에서 6.6만원이 절감됩니다.
  • 협력 카드사가 대폭 확대 되었습니다.
  •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 제공 : 개선전에는 앱이나 사이트를 통해서만 공지사항등이 안내 되었으나 개선 후 카카오톡 알림을 통한 각종 공지사항을 알려 드립니다. 회원가입완료나 저소득층 증빙 완료, 휴면계정 전환, 기타 정책등에 대한 알림을 서비스합니다
  • 저소득층 증빙 서류 간소화 : 개선 전에는 저소득층 증빙서류가 별도 등록이 필수 였는데 개선 후에느느 행망 연계를 통해 저소득층 자동 인증이 됩니다. 회원가입시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차상위계층확인서등이 없이도 저소득층 기준으로 마일리지 적림이 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대중교통요금과 이동거레에 따라 차등 적립 됩니다. 만약 이동거리가 확인하기 어렵다면 최소 마일리지 50원을 지급합니다. 또한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일, 환경.교통 관련 기념일에는 마일리지가 2배 지급됩니다.

알뜰교통카드 기본 마일리지

  • 일반층 : 2천원 미만 (250원), 2천원~3천원 (350원), 3천원이상 (450원)
  • 청년층 : 2천원 미만 (350원), 2천원~3천원 (500원), 3천원이상 (650원)
  • 저소득층 : 2천원 미만 (700원), 2천원~3천원 (900원), 3천원이상 (1100원)

*이동거리 800m기준이며 8–m미만 시 거리 비례 지급합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 기준

월 대중교통을 15회 이상 이용할때 최대 60회까지 지급합니다. 가입 첫 달의 경우에는 15회 미만도 적립액을 지급합니다. 60회 이상 이용시에는 적립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해 적립 금액을 지급합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 방법

신용카드 경우 알뜰교통카드 사용한 다음달 청구 할인을 해주며 체크카드인 경우 계좌로 입금하고, 모바일 선불카드등 충전식 방식은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합니다. 카드사별 추가 혜택은 별도 입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방법

  1. 출발.도착을 입력하면 출발 위치에서 승차정류자 위치와 하차정류장 위치에서 도착 위칙까지 직선거리의 1.3배 적립합니다. 다만 출발.도착을 입력하지 않으면 최소 마일리지 500원이 적립됩니다.
  2. 즐겨찾기 등록을 하면 등록된 출발 및 도착 위치와 승차.하차정류장 위치의 직선거리의 1.3배 적립합니다. 다만 미등록 정류장을 이용했을때는 최소 마일리지 50원이 적립됩니다.
  3. 신체활동, 건강 등 도보수를 수집하는 권한을 허용 했을 때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이동한 15분 도보수에 평균 도보거리를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다만 도보수 체크 기능이 없을 때는 마일리지가 산출되지 않으니 유의해 주세요.

알뜰교통카드 사용 절차

  1. 알뜰교통카드 발급 : 신한, 우리, 하나, 삼성, KB국민, 현대, NH농협, BC(IBK 기업은행, 광주은행,케이뱅크, 바로카드), 캐시비, DGB유페이 중 이용자의 편의에 따라 발급 받습니다. (티머니는 신규 발급을 중단 했으니 유의해 주세요)
  2.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 구글 play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삼성 갤럭시스토어, 원스토어등의 앱을 설치해 주세요.
  3.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회원 가입 : 주소지 검증은 주민등록번호로 인증합니다.
  4. 대중교통 이용시 알뜰교통카드로 결제 합니다.
  5. 마일리지 적립 방식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정합니다.
  6. 15회 이상 이용할때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최대 30% 절감! 앱 마일리지 적립 최대 20%로 교통카드 혜택 최대 10% 절감합니다. 건강도 챙기고 환경도 지킵니다. 이동거리 최대 800m까지 마일리지 적립 됩니다.

카드 안내

하나카드

알뜰교통카드

버스/지하철 20% 청구할인 월 1만5천원, GS25,CU,세븐일레븐 10% 청구할인 일 1천원, 월 1만원, 스타벅스, 커피빈 10% 청구 할인 월 5천원입니다.

모바일 개시비, DGB 유페이 IM원패스,티머니등

알뜰교통카드

자주하는 질문

  • 내가 이용하는 정류장이 없습니다 – 즐겨찾기의 정류장 검색결과에 내가 이용하는 정류장이 없는 경우는 주변의 정류장으로 등혹 후 사용 가능합니다. 정류장 검색 시, 지역과 정류장명을 함께 검색해주세요. 또한 키워드 검색으로 검색결과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근처의 지하철역이나 오래된 건물로 검색 후 지도보기에서 선택해 주세요.
  • 카드 변경은 몇 번 가능한가요? – 카드변경은 매달1일~ 말일 월1회 가능합니다. 가입 첫달은 변경을 할 수 없습니다.
  • 모든 스마트폰에서 이용 할 수 있나요? – 아드로이드 OS 9, iOS 12버전 이상부터 지원하고 있습니다. 쾌적한 앱 사용을 위해 스마트폰의 OS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 앱 회원가입시 본인인증이 안돼요 –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회원 가입시, 본인여부 확인을 위해 휴대폰 본인인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PASS 앱 회원인 경우 휴대번호 입력 수 본인 인증하실 수 있고, 회원이 아닌경우 문자로 인증하기 하시면 됩니다.
  • 아이폰 설정시 앱 목록에 위치 설정이 없어요 – 위치 접근 허용 후, 위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출발 버튼 클릭 -> 위치 접근 허용여부 묻는 팝업에서 ‘앱을 사용하는 동안 허용’을 선택 -> 아이폰 설정 접속 -> 앱 목록에서 선택 ->위치 클릭 ->정확한 위치켬
  • 개명 했습니다. 이름 수정 할 수 있나요? – 이름 수정은 마이페이지 -> 내정보 메뉴에서 할 수 있습니다. 1.내정보메뉴 -> 2.이름변경 버튼 클릭 -> 휴대폰 본인인증 완료 ->화면 하단의 수정 버튼 클릭
  • 이사를 갔습니다. 주소지 변경을 해야 하나요? – 주민등록지상 주소가 변경된 경우, 내정보의 주소지 변경이 필요합니다. 마이페이지 -> 내정보의 주소지 검증을 통해 변경 가능합니다. 사업대상지역이 아닌 지역으로 이사간 경우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대중교통비 혜택 7월부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해야 하는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공공재원이 지급하고 민간카드사가 10% 추가 할인해 주는 혜택입니다.

Leave a Comment